발표에 따르면 월그린스는 연말 거래 종결을 목표로 미국사모펀드.
대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 책임론’이 확산하고 있다.
순천 지에이그린웰 하이드원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보다는 ‘엑시트’(투자금 회수)만을 목표로 하는사모펀드의 한계가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6일 업계에 따르면 MBK가 10년 전 홈플러스를 사들일 때부터 인수 가격이 비싸고 차입.
홈플러스가 예기치 못하게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하면서사모펀드(PEF)식 투자 전략의 한계가 다시 한번 고스란히 드러났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투자 대상을 인수하기 위해 적정 가치를 넘어서는 ‘고가 매입’에 나서고, 이 과정에.
구조조정을 위한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하고, 법원은 신청 11시간만에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홈플러스는 국내 최대사모펀드인 MBK 파트너스가 지난 2015년 9월 7조2000억원을 들여 지분 100%를 사들였지만 과도한 차입매수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과 온라인.
얼마 전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간 홈플러스가 뜨거운 이슈입니다.
그러나 MBK?사모펀드? 차입금? 기업회생? 어떤 상황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데요.
미국 대형 약국체인 월그린스가사모펀드시커모어 파트너스에 팔리면서 100년 만에 비공개 회사로 전환한다.
6일(현지시간) 미국 CNBC,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월그린스는 이날 시커모어에 약 100억달러 규모 지분을 넘기고 비공개 회사로 전환에 합의하는 계약을.
매장도 정상적으로 운영하겠다는 방침이다.
법정관리를 통해 다시 재기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 삼성에서 테스코…결국사모펀드손에홈플러스는 한국에서 이마트 다음으로 만들어진 대형마트 브랜드다.
1997년 삼성물산 유통부문의 할인점 사업이 그 시작.
가격 등 세부적 협의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CJ제일제당이 국내사모펀드(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와 그린 바이오 사업 매각을 위한 협상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 앵커멘트 】사모펀드인 MBK는 20년 전 외환은행 먹튀 논란을 일으킨 외국계펀드'론스타'에 대항할 국내 첫사모펀드로 만들어져 관심을 끌었습니다.
국내 기업이 헐값에 외국계로 넘어가는 것을 막는 순기능을 기대했지만, 지금은 수익만을 쫓는 투기 자본.
케이카 매각에 나섰지만 마땅한 인수 후보군이 보이지 않고 있다.
사진은 서울 영등포구 케이카 본사.